논문 실적

논문실적 2009. 10. 5. 22:39

최근 순 >

(27) 일본어 번역투 종합 고찰 및 극복 방안 연구 - 2000년대 일한 번역작품을 대상으로 -」『 일본연구 』 vol., no.61 (2024. 8 ) 중앙대학교 일본연구소. pp. 45-70 (26 pages)

(26)  「일상생활 속 번역문체 어떻게 생각하나요?」『알면 다르게 보이는 일본 문화 2』  지식의 날개. 방송대출판문화원  (2022.5) pp.299~306

(25)  번역과 언어간섭‒‘가짜동족어(false friends)’를 중심으로‒『日本近代學硏究』第75輯 (2022.2) 韓国日本近 代学会. pp.25~50

(24)  「미디어 속 번역문체에 대하여 -말과 글은 쉽고 간결하고 명확하게-」『말과 글』 (2019년 봄 제158호) 한국어문   기자협회. pp.21~28

(23)  「번역, 문학과 문화를 말하다 -명작의 한 ․ 일 ․ 영 번역을 중심으로-」『日本語學硏究』第54 (2017.12) 韓  國日本語學會. pp.107~123

(22)  「무라카미 하루키(村上春樹) 문학의 한국어판 번역의 검증과 조망-오역과 번역투를 중 심으로」『日本近代學硏  究』第56輯(2017.5) 韓国日本近代学会. pp.95~112

(21)   「일한 번역의 이문화수용과 번역전략」『통합인문학연구』제7권 2호(2015.8) 한국방송 통신대학교 통합인문학  연구소. pp.55~90

(20)  「일한 번역의 이문화수용과 문화변용」『日本近代學硏究』第46輯(2014.11) 韓国日本近 代学会. pp.99~116 

(19)「일한 번역의 번역투 연구 ― ‘~적(的)’의 번역과 번역투를 중심으로 ―」『日本學報』 第99輯(2014.5) 韓    日本学会. pp.75~92

(18)  「일한 번역의 번역투 연구 -피동표현과 사동표현 번역문을 중심으로-」『日本近代學硏 究』第43輯(2014.2) 韓 国日本近代学会. pp.119~138

(17)「일본어는 어떻게 우리말을 잠식하였나? -일본식 (번역) 투의 과잉 양상과 극복 방안 -」 동아시아 교류와 문화      변용』(이경규 공저) 동아시아연구총서 제1권 동의대학교 인 문사회 연구소 편. 박문사(2013.2). pp.393~427

(16)  「일한 번역과 번역투」 󰡔인간과 문화연구󰡕 第19輯(2011.12) 동의대학교 인문사회연 구소. pp.87~113

(15)  「일본어 번역 한국어의 문체와 어휘」 󰡔한국어학󰡕 第53輯(2011.11) (이경규 공저) 한국 어학회. pp.93~117

(14)  「사역표현의 일한 번역과 번역투」 󰡔日本文化硏究󰡕 第38輯(2011.4) 동아시아일본학회. pp.311~329

(13)  「일한번역의 번역투 고찰 -수동표현 번역문을 중심으로-」 󰡔日本近代學硏究󰡕 第29輯 (2010.8) 韓国日本近代学 会. pp.163~181

(12)  「日韓 飜譯 戰略: 친숙하게 하기와 낯설게 하기 -이문화 용어와 외래어 표기를 중심으 로-」 󰡔日本近代學硏究󰡕 第 27輯(2010.2) 韓国日本近代学会. pp.95~114

(11) 「韓日 兩言語의 飜譯과 ‘가짜동족어(false friends)’」『日本近代學硏究』第25(2009.8) 韓国日本近代会.    pp.51~66

(10)「일한 번역의 번역투 연구」(2008.2)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

(9)「일한 번역의 번역투 고찰 -일본식 후치사를 중심으로-」『번역과 일본문학』현대 일본총서 01 도서출판 문            (2008.2). pp.203~231

(8)「일․한 번역의 번역투 고찰 -텍스트 번역 실험 결과를 중심으로-」『日語日文學硏究』 제61집1권(2007.5) 韓國 日語日文學會. pp.235~258

(7)  「モノダ」의 韓國語 飜譯의 一考察 -수필과 드라마 시나리오를 中心으로-」『日本語學硏究』 제17집           (2006.12)   (한선희 공저) 韓國日本語學會. pp.163~183

(6)『The Catcher in the Rye』의 韓日 飜譯 比較 -충실성과 가독성의 관점에서-」 『日本文化學報』제30집          (2006.8) 韓國日本文化學會. pp.135~151

(5)「日韓 飜譯의 實際」『高大日語敎育硏究』제5호(2006.2) 고려대학교 일본어교육연구 회. pp.31~41

(4) 「『The Catcher in the Rye』의 한일 번역 비교 고찰 -주인공 홀든 콜필드(Holden Caulfield)의 어휘말투를 중  심으로-」『日本硏究』제5집(2006.2) 고려대학교 일본학 연구센터. pp.54~68

(3)「「~てもらう」구문의 한국어 번역상의 일고찰 -겸양적 사역표현 번역문을 중심으로 -」『日語日文學硏究』  제55집 1권(2005.11) 韓國日語日文學會. pp.265~283

(2)「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에게 나타나는 언어행동 고찰」『日本文化硏究』第5輯(2001.10) 韓國日本學協會.          pp.249~265

(1)「許可를 구하는 表現에 대한 韓日 對照硏究」(2001.2)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 

 

 

Posted by 오경순
,